공영주차장 공매, 부동산관련

부린이를 위한 청약,부동산 용어

모카애비 2022. 8. 28. 17:40
반응형

부린이를 위한 청약,부동산 용어

 

부동산관련 까페나 관련 카톡방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다.

이외에도 꽤 있겠지만, 주로 많이 쓰이는 용어들 위주로 정리하였다.

혹시나 모르는 용어가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전용면적>

가장 기본이 되는 면적입니다.  현관문안의 방, 거실, 화장실, 주방 등의 면적입니다. 보통 보일러가 들어오는 바닥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베란다나 테라스는 포함되지 않아요.

취득세, 재산세 등 세금의 부과기준이 되는 면적이며, 국민주택규모 기준을 말할때 전용면을 의미합니다. 

 

<공용면적>

공용면적은 공동현관, 복도, 계단, 엘레베이터 등을 세대별로 안분한 “주거공용면적”과 

주거 동 이외에 주차장, 노인정, 관리사무소, 경비실 등의 면적을 “기타공용면적”이 있어요.

즉,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면적을 각 세대별로 배분한 것입니다.

 

<공급면적>

위의 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의 합이 바로 공급면적입니다. 아파트 분양시 평당 얼마인가 를 말할때 공급면적으로 계산합니다.

 

<전매>

청약에 당첨된 분양권을, 아파트 등기를 치기전에 매매를 하는것. 즉 입주전에 매매를 하는것을 일컫음.

 

<RR>

Royal 동 + Royal 호

아파트단지내에서 가장 좋은 동에, 가장 좋은 층수(호)를 말함.

아파트 내에서 가장 고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담대>

주택담보대출

 

<프리미엄, 피>

분양가나 정가보다 좀 더 비싸게 웃돈을 얹는것.일반적으로 좋은 아파트는 분양후 바로 프리미엄이 몇천만원씩 붙게 되죠.

 

<마이너스피, 역피>

분양가나 정가보다 더 낮게 나오는 것. "마피"라고도 함. 시세가 떨어져서 분양가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입니다. 듣보잡 브랜드나 분양가가 너무 높을때 가끔 발생합니다.

 

<초품아>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 대단지내에 초등학교가 있는 경우나, 아파트와 초등학교가 바로 붙어 있는 경우를 말함.

 

<브역대신평초>

브랜드, 역세권, 대단지, 신축, 평지, 초품아를 줄여서 부르는 말.위 6가지 항목은 아파트 시세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청약이나 아파트투자시 중요한 지표입니다.보통 3개이상 충족할 경우 괜찮은 아파트로 봅니다.

 

<줍줍>

미분양된 아파트나 미계약된 무순위 아파트를 분양받는것.예전에는 줍줍할수 있는 조건이 쉬웠으나, 이제는 법 개정으로 줍줍할수 있는 조건도 분양조건만큼이나 까다로워짐. 그래서 예전처럼 줍줍할수 없음.

 

<떳다방>

이동식 불법 중개업소

 

<깜깜이분양>

건설사에서 의도적으로 미분양내기 위해 홍보없이 분양하는 경우.이름없는 지방 건설사들이 가끔 이렇게 함.

 

<임장>

현장 답사

 

<슬세권>

슬리퍼 신고 돌아다니면서 쇼핑,유흥을 누릴수 있는 지역.즉 집 가까운 곳에 중심가가 있는 경우.

 

스세권 - 스타벅스,  맥세권 - 맥도날드,  숲세권 - 숲 근처,  학세권 - 학교, 학원가 근처

 

<주복>

주상복합아파트. 

 

<다운계약>

매도자의 세금을 낮추기 위해 매도가를 낮게 책정하여 계약하는 행위 (불법임.)

 

<마통>

마이너스 통장

 

<기타>

해센푸 - 해운대센트럴푸르지오

동래아 - 동래 래미안 아이파크

위와같이 유명한 대단지 아파트를 줄여 부르는 경우도 많다. 

요즘엔 워낙 아파트 단지 이름이 길어져서~

 

 

 

부린이를 위한 청약이야기 (1)

부린이를 위한 청약이야기 (1) 2년전 새벽에 부산 요지의 39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최고층(39층) 청약이 당첨되었다는 문자를 받았다. 청약점수는 10점대였지만 당첨은 최고층으로 걸린것이다. 몇년

mokachika.tistory.com

 

 

부린이를 위한 청약이야기 (2)

지난 시간에 청약을 하기위해서는 일단 청약통장을 만들어라고 하였다. 청약 통장을 만들고난뒤에는 몇가지 앱을 깔아야 한다. 요즘은 다들 휴대폰으로 하니까, 어찌보면 필수적인 앱이다. 분

mokachik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