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주차장 공매, 부동산관련

공영주차장 공매 입찰하기 - 초급3편 (과거 입찰이력 검색하기)

모카애비 2023. 3. 27. 19:41
반응형

공영주차장 입찰시 가장 중요한 것은 입찰 가격일것이다. 입찰가 산정시 고려해야 할 것은...

 

* 예상매출

  -. 해당 급지 (1~4급지)

  -. 입출차차량 대수 - 평일/주말 비율, 오전/오후 입차비율, 할인차량 비율 등

  -. 월차비율

 

* 예상운영비용

  -. 인원 투입 여부 - 인건비

  -. 기타 부대비용 - 전기세, 인터넷, 수도세, 카드수수료 등

 

주차장도 하나의 사업체이다. 가게를 운영해 본 자영업자라면 잘 아시겠지만, 가게 한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것을 감안하고 생각해야 한다. 공영주차장도 마찬가지이이다. 위에서 간략하게 예상매출 / 운영비용 등에 대해 언급하였지만, 신경쓰고 관심가져야 하는것이 한두개가 아니다. "그냥 가만 놓아두면 알아서 돈이 벌리겠지"라는 생각은 애초에 갖다 버리길 바란다. 공짜 돈은 없는거니까~

 

오늘은 입찰전 조사사항 중 가장 중요한 과거 입찰 이력 조회를 알아보겠다. 신규로 지어진 주차장의 경우에는 주위 상권, 인구밀집도 등 예측을 해서 입찰가를 산정해야 하지만, 온비드에 올라오는 공매물건의 80~90%는 이미 운영중인, 즉 계약만료가 된 공매물건들이다. (앞글에서도 설명했듯이 공영주차장은 최대 2년까지 운영가능하다.) 현재의 입찰가 산정을 위해서는 상권, 차량 입출차도 중요하지만 과거에 기운영자들이 얼마에 낙찰을 받았는지가 중요한 척도가 될것이다.

 

그럼 과거 낙찰 이력을 볼수 있는것은

 

1. 온비드 공고사이트에서 "과거이력"에서 검색

2. 첨부된 공고문에 게재

3. 온비드 사이트에서 과거 낙찰이력 "검색" 가능

 

첫번째는 사이트 공고 검색시 나오는 "과거이력"을 검색하는것이다.

아래와 같이 물건상세 공고에서 메뉴 상단쪽에 "입찰이력"을 클릭하면 이 주차장의 과거 낙찰이력을 알수 있다. 하지만 공고문을 올린 공무원이 과거이력을 입력하지 않는다면 과거 낙찰 이력이 100% 나오지 않는다. 참고로만 클릭해서 검토하길 바란다. (물론 100% 나올수도 있다.)

 

 

 

 

해당물건의 경우, 2023년 1월 11일에 23,192,000원에 낙찰된것을 알수 있다. 앞서 말했듯이 아래 공고문을 보면 알수 있듯이 해당 공무원이 모든 낙찰을 올리지 않은 Case이다. 아래 공고문을 보면 최초 낙찰자는 22년 7월에 48,000,000원에 낙찰된것을 알수 있다.

 

 

 

위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위 Case의 경우 22년 7월에 4천8백만원에 낙찰받은 낙찰자가 너무 높게 낙찰을 받는 바람에 반년정도 운영하다 운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두번째 낙찰자가  23년1월에 2천3백여만원에 낙찰을 받았지만 이 금액으로도 운영이 힘들다 판단하여 다시 공매로 다시 나온것으로 보여진다. 낙찰자자 운영을 포기하는것은 운영상의 어려움, 인원관리이 어려움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수익이 나지 않는것이 아니겠는가! 이 곳 또한 노상 주차장으로 인원이 항상 붙어있어야 하고, 낙찰자가 아니면 직원을 고용하여 운영하여야 하는곳이다. 즉 내가 붙어 있으면서 내 인건비 따먹기를 하든지, 인건비를 감당할만큼 수익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마지막으로 온비드 사이트에서 직접 과거 낙찰가를 검색하여 보도록 하자. 위 가지 사항은 공매물건 공무원이 누락하거나 빠뜨릴 경우가 다반사이지만 아래의 경우는 모든 낙찰가를 볼수 있는 방법이고 무조건 등록되어 있으므로 꼭 확인을 해봐야 하는 항목이다. (전산화 이전의 데이타는 누락되어 있을수 있다.)

 

먼저 온비드 홈페이지 홈화면에서 메뉴 상단의 부동산 메뉴에 커서를 올리면, 바로 아래에 '부동산Home, 물건, 공고, 테마물건, 입찰결과'라는 하위 메뉴가 뜬다. 이중 '입찰결과'를 클릭한다. 

 

 

 

아래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처분방식에 '임대(대부)', 용도에는 '토지', '주차장'을 선택하고 지역은 자신의 해당지역을 클릭한다. 개찰일자는 여유있게 1년을 선택한다. (조회기간 1년이상은 불가) 22년 개찰결과를 알고 싶으면, 22년1월1일부터 22년 12월31일까지로 지정하는것을 추천한다. 그 해의 모든 개찰결과를 볼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물건명'에 해당 주차장의 이름이나 특징을 적어주고 검색하면 된다. 마지막 물건명을 입력하지 않으면 해당 지역의 모든 주차장 낙찰내역이 몇백개 뜰수 있으니 꼭 적어주고 검색하길 바란다. 

 

 

이렇게 보면 좌3동 신도노상공여주차장의 경우, 22년7월에 최초 낙찰자가 48백만원에 낙찰받아 운영시작하였으며 1~2달정도 운영하다 수익이 나지 않아 바로 운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22년 9월부터 차기 공매가 들어갔지만, 이후 낙찰자가 없어 23년도 1월까지 유찰되어 넘어온것으로 추정된다.

 

본 건의 경우, 22년 7월에 신규 주차장이어서 22년 이후 낙찰 결과를 볼수 있었지만 좀 더 오래된 주차장의 경우 년간 단위로 낙찰내역을 보면 해당 주차장의 히스토리를 어느정도 가늠할수 있다. 예전 운영자들이 어느 정도의 금액으로 운영하였는지, 1년만 운영하였는지, 2년까지 운영하는지 등의 내용들을 보고 나의 최종 낙찰금액을 선정하는데 아주 많은 도움이 된다. 

 

오늘은 공영주차장 과거 낙찰내역을 조회하고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예상매출 산정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다. 

 

* 광고 클릭 한번은 블로그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